컨테이너

2015. 6. 5. 항만 크레인의 종류와 용도 배에서 컨테이너 화물을 내릴 때 꼭 필요한 시설! 바로 크레인입니다. 전 세계 항만을 보면 매우 크고 다양한 크레인을 볼 수 있는데 생김새가 다른 만큼 용도도 모두 다릅니다. 그럼 지금부터 몇 가지 크레인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크레인이란?동력을 이용하여 무거운 물건을 사람대신 들어 올리고 이동시키는 기계장치로 공장, 항만 등에서 이용됩니다. Ⅰ.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컨테이너 크레인이라고도 불리기도 하며 가장 기본이 되는 장비로,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전용부두에 안벽 측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주로, 컨테이너 선박에 실려 있는 컨테이너 화물을 내리거나 반대로 선박에 싣는 작업을 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크레인의 크기는 매우 다양하지만 컨테이너 선박의 크기가 커지는 추세에 따라 갠트리..
2015. 5. 14. 세계주요항만 시리즈 Ⅲ. 아시아 - 상하이 항구 지금까지 중동, 유럽, 북미에 있는 항구에 대해 배워보았는데요. 그렇다면 과연 세계 1위 항구는 어디 대륙에 있는 항구일까요? 궁금하시죠? 바로 아시아 대륙에 있는 중국의 상하이 항입니다. 현재 경제 강국으로 부상하며 세계 1위 인구수를 차지하고 있는 나라인 만큼 놀라운 소식으로 다가오지는 않지만 상하이 항은 2014년만 해도 3,529만 컨테이너 물동량(TEU)을 처리하여 2010년부터 4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상하이 항은 아시아 국가에 있는 많은 나라와 가까우며 이에 따라 교역이 자유롭게 이루어 질 수 있다는 특성과 중국의 경제 성장으로 인해 외국의 관심과 투자가 많아짐으로써 세계 주요 항만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또한, 컨테이너 처리실적이 많은 세계 10대 항만이 모두 아시..
2015. 4. 15. 컨테이너 물동량 기본단위 TEU에 대해 알아보자 컨테이너 물동량의 기본 단위. TEU에 대해 알아봅시다. 인천항은 2014년 컨테이너 물동량 약 233만 TEU를 기록하면서 인천항 개항 이래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2년 연속 컨테이너 물동량 200만 TEU를 넘으며 인천항은 올해 컨테이너 물동량의 목표치를 250만 TEU로 잡았습니다. 물동량의 척도가 되고 있는 TEU. 오늘은 TEU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컨테이너선의 모습 (출처 : 인천항만공사 홈페이지) TEU란 항구에서 다뤄지는 모든 물동량의 기준이 되는 단위입니다. 컨테이너선이나 컨테이너 부두 등에서 주로 쓰이며 이는 표준 컨테이너 크기를 기준으로 설정하여 배나 기차, 트럭 등의 수송 수단간 화물 용량 비교를 손쉽게 하기 위하여 설정하였습니다. 10피트, 20피트, 30피트, 45..
2015. 3. 17. 물류효율화의 시작 – 유닛로드시스템 오늘은 유닛로드시스템에 대해 알아 볼 것입니다. 물류에 대해서 공부하지 않았다면 다소 생소한 개념이 될 수 있을텐데요.사실 알고 보면 아주 쉬운 개념입니다.먼저 유닛로드시스템(unit load system)은 화물을 미리 표준 중량 또는 부피로 단위화, 규격화시켜 가능한 한 일관된 기계력으로 *하역ㆍ수송하는 화물 수송 방식을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팔렛트(pallet), 컨테이너의 이용에 의한 *수송/보관, *포크리프트(지게차)에 의한 하역 등이 있습니다.쉽게 말해 물건을 하나하나씩 옮기고 싣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구성단위(unit)로 만들어 적재, 수송 그리고 하역에서 합리화를 달성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 팔렛트: 팔렛트는 지게차 따위로 물건을 실어나를 때 물건을 안정적으로 옮기기 위해 사용하는 ..
2015. 3. 4. 인천항, ‘환황해권 중심 항만’으로 도약하다! 지난해 인천항은 233만4,970TEU의 컨테이너 물동량을 달성했는데요. 이는 인천항 사상 최대의 수치로 전년도 대비 8.1% 이상의 큰 증가 폭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천항의 급속한 물동량 증가 및 성장은 중국과의 FTA 타결 등에 의한 중국 발 호재로 중국과의 중간재 및 잡화 중심의 무역이 증가하고 베트남과 태국, 말레이시아 등의 공장이전․해외투자규모 확대에 따른 교역 규모 증가 및 항로 신규 개설 등의 영향과 수도권과 충청권이라는 물류 거점에 위치한 인천항의 수요 증가에 의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실제로 인천항을 이용하는 외국적 선사의 컨테이너 물동량 실적을 살펴보았을 때 중국 선사와 대만 선사의 점유율이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는데요. 중국과의 거래가 더욱더 활발해져 인천항의 지속적인 물동량 ..
2015. 2. 24. 2015년 인천항 1월 컨테이너 물동량 통계
2015. 2. 2. 2014년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
2014. 9. 12. 수출입의 최전선을 지킨다! 항만 컨테이너 작업반 수출입의 최전선을 지킨다! 항만 컨테이너 작업반 여러분은 ‘항만’ 직업으로 어떤 것들을 떠올리시나요? 이런저런 다양한 직업을 생각하시겠지만, 제가 이번 기사를 통해 소개드릴 직업군을 떠올리시는 분들은 별로 없을 것 같은데요. 여러분 몰래 항만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땀 흘리며 일하고 계신 분들이 있어, 이 기사를 통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제가 소개할 분들은 바로, ‘항만 컨테이너 작업반’입니다!! 항만 컨테이너 작업반은 무슨 일을 하나요? ‘항만 컨테이너 작업반’. 컨테이너와 관련된 일을 하시는 분들일 것이라는 추측은 가는데요. 그래도 말만 들어서는 정확히 어떤 일을 하시는 분들인지는 모르겠죠? 자, 그럼 이제부터 저와 함께 항만 컨테이너 작업반이 하는 일을 알아봅시다!! 1. 컨테이너 분리 항만 컨테이너..
2014. 8. 29. CFS(Container Freight Station)는 무엇일까요? CFS(Container Freight Station)는 무엇일까요? 물류를 공부하신 분들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CFS. 오늘은 제가 이 CFS에 대해 이야기 하기 위해 인천항 내항으로 가보았습니다.바로 위의 사진이 제가 다녀 온 인천항 내 우련통운의 CFS입니다. 대학교에서 물류를 공부하고 있지만, 실제로 이렇게 항만에 와서 보니 이전에 배운 이론들이 하나하나 되새겨 지는 듯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 가장 먼저 CFS가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 해보아야 겠죠~? CFS는 Container Freight Station의 약자입니다. 즉, ‘컨테이너 화목 역’이라는 뜻이지요, 쉽게 말해, ‘수출을 하기 위해 컨테이너에 들어갈 화물들이 컨테이너에 들어가기 전 모여있는 곳’입니다. 이렇게 조금 쉽게 이야기..
2014. 3. 31. 화물의 종류에 따른 여러 하역장치들 화물의 종류에 따른 여러 하역장치들 바다를 통해 선박으로 화물을 운송하는 것을 해상운송이라고 합니다. 인천항을 통해서도 많은 화물들이 수입되고, 수출되는데요. 해상운송에서는 어떤 화물을 운송하느냐에 따라 선박의 형태도 달라지고, 화물들을 육지로 내려놓을 때 사용하는 장치, 즉 하역장비의 종류도 달라집니다. 하역장비와 화물을 보관하는 배후 보관시설도 마찬가지죠. 이 모든 것들을 항만 인프라라고 합니다. 인천항은 내항, 남항, 북항으로 구성되어있고, 각 부두마다 취급하는 화물이 다릅니다. 인천항 내항을 보더라도 1부두부터 8부두까지가 다 다른 성격의 부두인 셈이죠. 구체적으로 일반 잡화물을 처리하는 일반부두, 원목이나 철재와 같이 일정 형태가 있는 대량화물, 또는 양곡, 석탄, 철광석, 고철, 유류 등과 같..
2014. 3. 27. 인천항, 對 중국 컨테이너 물동량 점유율 상승 인천항, 對중국 컨테이너 물동량 점유율 상승127만 191TEU, 수출입 점유율 32.2%로 전년 대비 0.9%포인트 상승 2013년 인천항을 통한 대(對) 중국 컨테이너 수출입(환적 제외) 물동량이 전년 대비 6.3% 증가한 127만191TEU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국내 항만을 통한 전체 대 중국 수출입(환적 제외) 물동량 394만3천491TEU 중 32.2%의 점유율. 이 같은 실적은 2012년 31.3% 보다 0.9% 포인트 높아진 수치라고 인천항만공사측은 27일 밝혔다.○ 환적 물동량(11,364TEU)을 포함할 경우 인천항 점유율은 18.9%대로 낮아지지만, 실제로 화물의 교역이 이뤄진 수출입 물량만으로 보면 인천항이 항만을 통한 중국과의 교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분의 1 ..
2014. 3. 17. 중소기업의 물류비가 확 줄어든 이유는? 중소기업의 물류비가 확 줄어든 이유는? [LCL화물 전용 물류 센터-인천항 공동물류센터] 제가 소개해드릴 곳은 인천항 공동물류센터입니다. 먼저 인천항 공동물류센터가 어떤 일을 하는 곳인지 간략하게 알아야겠죠? 인천항 공동물류센터는 수도권 소재 물류업체를 대상으로 수입해 들어오는 컨테이너 화물에 저렴한 가격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입니다. 주로 LCL화물의 혼재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이죠. 여기서 좀 생소해보이는 LCL에 대해 궁금해 하실텐데요. 그럼 잠시 컨테이너 화물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컨테이너 화물에는 크게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요. LCL과 FCL 두가지로 나뉩니다. LCL은 Less than container load의 약자로 화물이 컨테이너 한 개를 채우지 못하는 소량화물이고 FCL은 F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