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룡~ 인천항만공사 해린이에룡~! 선선한 가을이라고 말하기에는 추위가 강해졌어룡~ 두꺼운 가디건 또는 겉옷을 입은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이제는 낮에도 찬 바람이 불어 긴 옷을 입지 않으면 꽤 쌀쌀합니다. 오늘 10월 8일은 24절기 중 17번째 절기인 한로로, 이슬이 찬 공기를 만나 서리로 변하기 직전의 시기인데요. 서리라는 말을 들으니 더욱 몸이 시려집니다. 한로는 어떤 절기인지, 인천항만공사 해린이가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룡!



한로는 찬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양력 10월 8~9일 무렵이 보통 이 시기인데요. 태양이 황경 195도의 위치에 올 때이기도 합니다. 음력으로는 9월의 절기로, 공기가 차가워짐에 따라 이슬(한로)이 서리로 변화하는 시기가 대표적인 의미입니다. 

찬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기 때문에 농촌에서는 기온이 더 내려가기 전 추수를 끝내기 위해 타작이 한창일 때인데요. 특히 가을 절기는 수확과 직결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농경사회였던 과거 사람들에게는 유독 중요한 절기였다고 해요. 전통 농경사회에서 기후변화가 가져오는 영향력이 대단했기 때문이지요. 그런 농민들에게 24절기는 계절의 추이를 정확하게 알 수 있게 해 주어 큰 도움을 주었어요. 농민으로서 24절기에 대해 아는 것을 “철을 안다”, “철이 났다”라고 하며, 이 뜻은 유소년이 성인이 또는 성숙한 농군이 되었다는 의미로도 사용되었다니 참 재미있지룡?


푸르게 피어났던 나무의 잎이 울긋불긋 물들며, 제비 같은 여름새와 기러기 같은 겨울새가 교체되는 시기인 한로! 과거 농경사회였던 만큼 한로와 관련된 재미있는 속담들이 있는데요. 인천항만공사 해룡이가 관련 속담을 몇 개 알려드리도록 할게룡!


① 한로가 지나면 제비도 강남으로 간다.


한로가 가져오는 추위를 철새에 빗대어서 풀어낸 속담이에요. 날씨가 더 추워지기 전, 제비가 따뜻한 곳으로 이동한다는 뜻인데요. 한로가 추워지는 기점을 어림잡아 강조했습니다. 덧붙여, 제비는 음력 삼짇날(3월 3일)에 강남에서 왔다가 한로가 지나 선선해지면 강남으로 돌아간다고 해요. 대체로 봄에 왔던 철새들은 한로가 오는 시점에 다시 돌아갑니다. 참 신기하죠?



② 가을 곡식은 찬 이슬에 영근다.


구비전승으로 지금까지 이어진 속담이에요. 과거 얼마나 곡식이 중요했는지 알 수 있는 부분입니다. 가을에 이슬이 내리면 곡식이 딴딴하게 잘 여문다는 의미의 속담인데요. 이슬이 내리면 날씨가 쾌청하여 곡식들이 잘 무르익어 풍년을 이룰 수 있다고 해요. 비슷한 속담으로는 “가을바람이 불면 곡식은 혀를 빼물고 자란다”가 있어요. 표현이 참 귀엽지요?


또한 한로에는 수유를 꽂거나 높은 곳에 올라가 고향을 바라보는 풍습이 전해 내려옵니다. 수유 열매가 붉은 자줏빛을 띠고 있어, 사악한 기운과 악재 등을 제거한다고 믿었다고 해요. 이렇듯 한로는 기온이 뚝 떨어지는 시기이기 때문에 따뜻한 옷으로 몸의 체온이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건강식 등을 통해 양기를 보충하는 것이 좋아룡. 그럼 처서에 어떤 음식을 먹으면 좋을지 해린이와 함께 알아보아요! 



과거부터 추어탕은 지친 기력과 원기를 회복하는 보양식으로 많이 알려져 있어요. 피로회복, 혈액순환, 성장발육 등 다양한 효능을 지니고 있습니다. 스태미나 보충에도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추어탕! 주 재료인 미꾸라지는 추어탕처럼 끓여 먹는 방법 외에 구이, 튀김 등으로도 즐긴다고 해룡. 이외에도 제철이 10월부터 시작하는 홍합, 부기 제거에 효과적인 호박 등 다양한 제철음식이 있어룡. 


오늘 인천항만공사 해린이와 함께 17번째 절기인 한로의 의미, 풍습, 먹는 음식까지 알아보았는데요. 한로가 지나면 아침, 저녁으로 기온이 크게 내려가 일교차가 크기 때문에 건강관리에 더욱 유의해 주셔야 한다는 사실, 잊지 말아 주세요! 오늘 해린이가 준비한 내용은 여기까지에룡~ 다음 시간에도 해린이가 즐거운 생활 정보에 대해 알려드릴게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