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미로운 바다 이야기를 알려주는 2021년 온라인 해양강좌 ‘수(水)요일엔 바다톡톡’! 해양레저, 극지, 해양환경 등 해양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로 이루어진 강연 영상이 매주 수요일마다 공개된답니다! 그럼 해양수산부에서 실시하는 2021년 온라인 해양강좌 ‘수(水)요일엔 바다톡톡’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까요?
2021년 온라인 해양강좌 ‘수(水)요일엔 바다톡톡’이란?
2021년 온라인 해양강좌 ‘수(水)요일엔 바다톡톡’은 해양수산부가 주최하고 한국해양재단이 주관하여 운영되는 프로그램인데요. 청소년 등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해양역사·인물, 해양환경, 해양레저, 극지, 해양과학, 해양생물, 수산 등 바다와 관련된 주요 지식과 정보를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는 강연 프로그램이랍니다.
올해 7월 28일부터 서울, 대전, 대구, 광주, 부산 등 총 5개 지역에 거쳐 실시되고 있는 본 강연 프로그램은 온라인 영상으로도 만날 수 있게 되었는데요. 11월까지 총 100편의 강연 영상이 공개되며, 누구나 쉽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해양교육포털과 한국해양재단 유튜브에서 게시된답니다.
‘수(水)요일엔 바다톡톡’ 추진목표
코로나19로 인해 일상생활에 대한 제약이 커지고, 외부활동이 어려워졌는데요. 해양수산부는 2021년 온라인 해양강좌 ‘수(水)요일엔 바다톡톡’을 통해 전 국민이 비대면으로 유익한 해양지식을 쌓고, 색다른 경험을 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답니다. 이를 통해, 국민이 바다를 더욱 친숙하게 느낄 수 있도록 앞으로도 지속적인 소통을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합니다.
‘수(水)요일엔 바다톡톡’ 세부 운영사항
1. 강연 영상 감상 방법
해양교육포털(www.ilovesea.or.kr)
한국해양재단 유튜브(https://bit.ly/3jWwNGb)
2. 강연 주제
해양생물, 극지, 직업/인물, 항해/역사, 해양생태계, 해양오염, 해양바이오, 수산/관측, 레저/창업, 해양과학, 환경/영토, 해양인문 등
3. 강연 목록
5개 지역 개최(서울, 대전, 대구, 광주, 부산)
- 서울
구분 | 구분 | 강연제목 | 강연자 | |
1회 해양생물 |
도입 | 제주 바다에서 만나는 천연기념물, 연산호 군락 | 이지선 | 1회 |
해양생물본 | 우리나라 돌고래, 상괭이를 아시나요? * 상괭이 해양교구 kit 만들기 |
빅겸준 | ||
2회 극지 |
도입 | 바다에서 생물이 가장 많이 사는 곳은 어디일까? | 이지애 | 2회 |
극지본 | 북극 해빙 아래,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 송하준 | ||
3회 직업/인물 |
도입 | 바다를 지키는 사람들을 만나볼까요? | 정민형 | 3회 |
직업/인물본 | 독도의 사람들(땅과 바다 그리고 사람들) | 유하영 | ||
4회 항해/역사 |
도입 | 15소년 표류기 | 박안서 | 4회 |
항해/역사본 | 신라 항로(航路)의 역사 | 최희준 | ||
5회 해양생태계 |
도입 | 해양생물의 다양성을 지켜주세요! | 이경미 | 5회 |
해양생태계본 | 우리의 소중한 해양생태계 보전하기 | 이구성 | ||
6회 해양오염 |
도입 | 해양오염과 우리의 미래 | 박근우 | 6회 |
해양오염본 | 해양생태계의 불청객, 초대받지 않은 손님 | 이창호 | ||
7회 해양바이오 |
도입 | 미래를 위한 열쇠, 해양바이오 | 황명수 | 7회 |
해양바이오본 | 바다의 은행, 해양바이오뱅크 | 신정민 | ||
8회 수산/관측 |
도입 | 바다에서 길 찾기 | 이승우 | 8회 |
수산/관측본 | 바닷속에도 숲이 있다고? | 전병희 | ||
9회 레저/창업 |
도입 | 스노클링, 스킨다이빙 | 이진원 | 9회 |
레저/창업본 | 파도로 전기를 만들 수 있다고요? | 성용준 | ||
10회 해양과학 |
도입 | 디지털 뉴딜, 자율운항선박 | 김진한 | 10회 |
해양과학본 | 바다에서는 어떻게 목적지를 찾아갈까요? (바다네비게이션) | 홍순배 |
- 대전
회차 | 구분 | 강연제목 | 강연자 | |
1회 해양생태계 |
도입 | 바다의 미래(바다 생태계 회복) | 신정윤 | 1회 |
해양생태계본 | 섬과 바다의 중요성 | 이재언 | ||
2회 해양자원 |
도입 | 우리의 바다, 자산어보 이야기 | 김동범 | 2회 |
해양자원본 | 세계사를 바꾼 소금, 소금의 과학 | 차현주 | ||
3회 환경/영토 |
도입 | 동해와 독도, 해양영토주권을 지켜라! | 김미정 | 3회 |
환경/영토본 | 바다숲을 가꾸어요! | 최미경 | ||
4회 해양과학 |
도입 | 바다와 에너지 이야기 | 복정식 | 4회 |
해양과학본 | 바다는 어떻게 생겨났고 변해갈까요? | 김영태 | ||
5회 해양과학 |
도입 | 지구의 5대양 6대주, 그 속에 숨은 바다의 진실 | 박상희 | 5회 |
해양과학본 | 갯벌의 가치(갯벌을 살리자) | 이재붕 | ||
6회 해양자원 |
도입 | 와우! 여름이다! 여름바다에서 만나는 바다 친구들 | 노성해 | 6회 |
해양자원본 | 바다는 내친구(바다 먹거리, 지하자원 등) | 오현주 | ||
7회 해양생물 |
도입 | 바다야 놀자! | 김성식 | 7회 |
해양생물본 | 우리 바다의 고래 | 안용락 | ||
8회 환경/역사 |
도입 | 바다를 위로해 주세요 | 김석천 | 8회 |
환경/역사본 | 조선시대 우리나라의 배와 뱃길 | 문경호 | ||
9회 해양인문 |
도입 | 실로 엮어 만드는 바다 이야기 | 이초희 | 9회 |
해양인문본 | 북극권 인문지리학의 이해 | 김정훈 | ||
10회 해양생물 |
도입 | 해양생물과 해양안전 퀴즈 | 김일재 | 10회 |
해양생물본 | 어린 물고기 보호와 해양환경 | 백상호 |
- 대구
회차 | 구분 | 강연제목 | 강연자 | |
1회 해양생태계 |
도입 | 국내 해안선의 특징과 형성과정, 활용방안 | 김동우 | 1회 |
해양생태계본 | 제주바다와 해조류 다양성 | 김명숙 | ||
2회 과학/영토 |
도입 | 돌고래들은 어떻게 멀리서도 의사소통할까 : 음파의 이용 | 김종수 | 2회 |
과학/영토본 | 해양시대의 독도 그리고 안용복 | 김병우 | ||
3회 해양환경 |
도입 | 바다와 플라스틱 : 오호 물병 만들기 | 전봉춘 | 3회 |
해양환경본 | 물고기 이야기 | 한경호 | ||
4회 해양과학 |
도입 | 영화 ‘투모로우’ 현실이 될 수 있을까? | 백명희 | 4회 |
해양과학본 | 인공어초, 그게 뭔데? | 변경숙 | ||
5회 환경/영토 |
도입 | 바다의 건강검진 : 기름 유출 실험 | 주지현 | 5회 |
환경/영토본 | 독도의 영토적 실체와 가치 | 박찬홍 | ||
6회 해양과학 |
도입 | 바다 속 테셀레이션 : 무드등 만들기 | 곽미영 | 6회 |
해양과학본 | 미세조류와 미래 바이오산업 | 홍지원 | ||
7회 과학/극지 |
도입 | 부력의 원리 : 잠수함 만들기 | 김경미 | 7회 |
과학/극지본 | 북극시스템과 해양 거버넌스 | 배규성 | ||
8회 해양과학 |
도입 | 등대속의 수학 | 이은경 | 8회 |
해양과학본 | 지구온난화가 왜 해양생태계를 교란시킬까요? | 김미경 | ||
9회 해양생물 |
도입 | 기후변화가 불러온 산호초의 위기 | 김건희 | 9회 |
해양생물본 | 바다에 사는 멸종위기 무척추동물 | 장금희 | ||
10회 환경/역사 |
도입 | 착한 플라스틱? : 물라스틱 !(물에 녹는 플라스틱) | 노영미 | 10회 |
환경/역사본 | 해상왕 장보고 | 윤재운 |
- 광주
회차 | 구분 | 강연제목 | 강연자 | |
1회 해양과학 |
도입 | 친환경 에너지! 풍력, 수력 발전 | 김윤주 | 1회 |
해양과학본 | 미래에너지 해양바이오 | 정규진 | ||
2회 해양산업 |
도입 | 친환경 풍력 수상보트 | 양회관 | 2회 |
해양산업본 | 선박은 친환경 운송수단 | 김명준 | ||
3회 해양문화 |
도입 | 잠수에 숨겨진 비밀 | 정재성 | 3회 |
해양문화본 | 대한민국의 보물 제주해녀 | 양종훈 | ||
4회 해양진로 |
도입 | 바다의 길잡이, 별자리 이야기 | 윤부연 | 4회 |
해양진로본 | 바다의 길잡이 해상교통관제사 | 김성욱 | ||
5회 해양생물 |
도입 | 나만의 바다 새우 수족관 | 이지원 | 5회 |
해양생물본 | 수출 우수 품종 “톳” 인공종자 생산연구 | 박용빈 | ||
6회 해양기후 |
도입 | 바다눈과 바다고드름 | 우정미 | 6회 |
해양기후본 | 북극 이야기 | 이재혁 | ||
7회 해양역사 |
도입 | 바다 탐험을 위한 나침반 만들기 | 이경학 | 7회 |
해양역사본 | 바닷속 문화재 발굴 | 이영철 | ||
8회 해양환경 |
도입 | 기름 유출을 막아라! | 이호준 | 8회 |
해양환경본 | 녹조와 적조현상이 궁금해! | 김창훈 | ||
9회 해양문화 |
도입 | 내 손 안의 작은 바다 | 임해랑 | 9회 |
해양문화본 | 시와 함께하는 바다여행 | 명기환 | ||
10회 해양자원 |
도입 | 시간을 달리는 소금물 전지 | 임환호 | 10회 |
해양자원본 | 바다의 보물 : 한국산 천일염 | 함경식 |
- 부산
회차 | 구분 | 강연제목 | 강연자 | |
1회 생물/환경 |
도입 | 기후변화와 해양산성화 | 노재환 | 1회 |
생물/환경본 | 우리 생활 속 바다생물 이야기(패류편) | 장해진 | ||
2회 환경/법 |
도입 | 해변에 플라스틱 넌 어디서 왔니? | 김태희 | 2회 |
환경/법본 | 해사법과 해상운송의 이해 | 지상규 | ||
3회 선박/레저 |
도입 | 퐁퐁 증기선 | 김동원 | 3회 |
선박/레저본 | 코로나 블루 극복을 위한 안전한 해양레저관광 | 조우정 | ||
4회 생물/레저 |
도입 | 서핑의 미래, 인공서핑의 이해와 역할 | 김은아 | 4회 |
생물/레저본 | 바다동물 이름의 유래 | 박수현 | ||
5회 해양과학 |
도입 | 물에 사는 수생식물 | 박지은 | 5회 |
해양과학본 | 과학이 숨어있는 바다의 미술관, 갯벌 | 최현우 | ||
6회 과학/자원 |
도입 | 잠수함 만들기 | 고민선 | 6회 |
과학/자원본 | 우리는 수산자원을 어떻게 늘릴 수 있을까? | 오태건 | ||
7회 체험/관측 |
도입 | 함께하는 바다 여행-스쿠버다이빙 | 김효영 | 7회 |
체험/관측본 | 드론을 이용한 해양관측 | 김원국 | ||
8회 생물/극지 |
도입 | 해조류의 변신 | 강 진 | 8회 |
생물/극지본 | ‘북극’의 개념과 전 세계 최신 북극 관심사 | 서현교 | ||
9회 해운물류 |
도입 | 바다에서도 자장면 배달이 가능하다? 해상드론의 세계 | 황의철 | 9회 |
해운물류본 | 물류가 없다면 커피는 누가 마실까? | 이성우 | ||
10회 환경/직업 |
도입 | 펼쳐보는 갯벌 이야기 | 유혜은 | 10회 |
환경/직업본 | 부산 해녀 이야기 | 유형숙 |
3. 강연 참여 이벤트
2021년 온라인 해양강좌 ‘수(水)요일엔 바다톡톡’ 참여자의 교육 효과를 높이고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는데요. 강연 관련 퀴즈와 시청후기 등의 이벤트에 누구나 참여하실 수 있으며 추후 당첨자에게는 소정의 상품이 지급된답니다! 모두들 참여해보세요:)
온라인으로 만날 수 있는 바다이야기, 2021년 온라인 해양강좌 ‘수(水)요일엔 바다톡톡’! 각종 해양지식을 배워볼 수 있는 기회, 절대 놓치시면 안 되겠죠? 그럼 해린이와 바다 공부하러 떠나볼까요?
미래의 스마트항만을 게임으로 만나보는 시간! #항만크래프트
연안과 친해지는 시간! <2021년 초·중등학교 연계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뉴스 > 인천항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의 선택은] 해양치유산업 VS 해양플랜트산업 (34) | 2021.11.12 |
---|---|
[IPA 으-쓱 : G(지배구조)] 윤리경영·자율준수 실천을 위한 노사공동 서약을 맺은 인천항만공사! (57) | 2021.11.10 |
[인천항만공사 언박싱] 인천항 스마트 오토밸리 조성을 본격화하다! (46) | 2021.11.08 |
[인천항만공사 웹툰] 겨울을 맞이하는 해룡이와 해린이의 자세 (37) | 2021.11.05 |
[IPA 으-쓱 : S(사회) 사례] 중소기업 지원을 통해 동반성장을 추구하는 인천항만공사 (27) | 2021.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