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룡~! 인천항만공사 해린이에룡~!! 계절을 나타내는 24절기에 대해 꾸준히 소개드리고 있습니다. 오늘은 벌써 절반인 열두 번째 절기 이야기를 할 차례가 되었어요. 가장 더운 날을 의미하는 대서가 바로 그 날입니다. 얼마나 덥기에 ‘대서’라는 말이 붙었는지, 대서에는 어떤 풍습이 있었고 어떤 음식을 먹었는지 함께 알아보도록 할까룡? 인천항만공사 해린이를 따라오세룡~!





 ‘대서’는 24절기 중 열두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로 여름 절기 중에는 마지막에 속합니다. 소서(小署)와 입추(立秋) 사이에 들어 가장 더운 여름을 의미하면서도 여름과 가을을 잇는 절기로서의 역할도 하고 있습니다. 음력으로는 6월에 있으며, 양력으로는 7월 23일 무렵에 드는데, 이는 태양의 황경이 약 120도 지점을 통과할 때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대서 무렵이 대개 중복(中伏) 때로, 장마가 끝난 뒤 가장 더운 시기입니다. 대서라는 이름 그대로 가장 크고 무더운 더위를 겪을 수 있는 것이 바로 이맘때쯤으로, 예로부터 ‘대서에는 염소 뿔이 녹는다.’라는 속담이 전해질 정도입니다. 





옛날 중국에서는 대서로부터 입추까지의 기간을 5일씩 끊어서 삼후(三候)로 하였는데, 『고려사(高麗史)』의 기록을 보면 대서는 6월 중기로 초후(初候)에는 썩은 풀에서 반딧불이 나오고, 차후(次候)에는 흙에 습기가 많으며 무덥고, 말후(末候)에는 큰비가 때때로 온다고 하였습니다. 무더위가 절정에 달하는 시기이지만 간혹 장마가 늦게 끝나는 경우에는 대서 무렵까지도 큰비와 더위가 함께 찾아오는 경우도 있답니다. 


대서는 중복과 겹치는 시기인 관계로, 삼복더위를 피해 계곡과 같은 곳으로 찾아가 준비해온 음식을 먹으면서 노는 풍습이 있습니다. 삼복더위의 한 가운데에 있어 연일 불볕더위, 찜통더위를 겪게 되는데, 무더위를 삼복으로 나누어 소서와 대서라는 큰 명칭으로 부르는 건 무더위에 대한 경각심을 깨우쳐 주기 위함이라고 전해집니다. 





이 시기는 작물이 빨리 자라는 시기이기 때문에 날씨엔 영향이 가장 중요할 때입니다. 대서에 냉해나 비가 계속해서 오면 작물의 성장에 지장이 많이 생겨 풍작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삼복(三伏)에 비가 오면 대추나무에 열매가 열리지 않는다.""란 말도 여기에서 나왔습니다.

대서에는 농촌에서 논밭의 김매기, 논밭  렁의 잡초 베기, 퇴비장만 같은 농작물 관리가 한창이며, 참외, 수박 등의 채소가 풍성하고 햇밀과 보리를 먹게 되는 시기로 특히 과일은 이때가 가장 맛있어진다고 합니다. 하지만 비가 너무 많이 오면 과일의 당도가 떨어진다고 하네요.


1년 중 가장 더운 시기이기 때문에 이맘때가 제철인 음식을 먹으며 더위를 이겨내는 것이 중요한데요. 대서에 많이 먹는 음식은  7월이 제철인 애호박, 수박, 참외 등이 있고 밀과 민어도 여름철 건강에 도움이 되는 음식입니다. 밀은 소서와 대서 사이에 주로 수확했기 때문에 이 시기에 갓 수확한 밀로 만든 밀가루 음식을 많이 먹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여름이 제철인 민어도 칼륨, 인 등의 무기질과 불포화 지방산, 필수 아미노산, 다양한 비타민 등의 영양이 가득해 여름철 보양식으로도 많이 애용됩니다. 여름에 가장 맛있는 과일은 복숭아도 대서 즈음에 가장 많이 먹습니다. 피로회복에 좋고, 강한 햇볕에 손상된 피부를 회복시키는 데 도움이 된답니다.




1년 중 가장 더운 날인 대서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대서의 무더위만 잘 견뎌내시면 이제 곧 풍요로운 가을의 시작인 입추가 다가올 것입니다. 한창 절정에 달해 있는 여름은 오늘 소개해드린 갖가지 음식과 함께하면 잘 이겨내시기를 바랄게요. 인천항만공사 해린이의 대서 이야기는 여기까지에룡~! 다음 시간에도 유익한 정보로 다시 찾아올게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