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동량

2015. 5. 14. 세계주요항만 시리즈 Ⅲ. 아시아 - 상하이 항구 지금까지 중동, 유럽, 북미에 있는 항구에 대해 배워보았는데요. 그렇다면 과연 세계 1위 항구는 어디 대륙에 있는 항구일까요? 궁금하시죠? 바로 아시아 대륙에 있는 중국의 상하이 항입니다. 현재 경제 강국으로 부상하며 세계 1위 인구수를 차지하고 있는 나라인 만큼 놀라운 소식으로 다가오지는 않지만 상하이 항은 2014년만 해도 3,529만 컨테이너 물동량(TEU)을 처리하여 2010년부터 4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상하이 항은 아시아 국가에 있는 많은 나라와 가까우며 이에 따라 교역이 자유롭게 이루어 질 수 있다는 특성과 중국의 경제 성장으로 인해 외국의 관심과 투자가 많아짐으로써 세계 주요 항만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또한, 컨테이너 처리실적이 많은 세계 10대 항만이 모두 아시..
2015. 5. 4. 매력있어, 인천항 우리나라가 3면이 바다로 둘러쌓인 반도라는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죠? 하지만 북쪽은 북한과 맞닿아있는 관계로 실질적 섬나라라고 볼 수도 있는 곳이 바로 우리나라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특히 항구 도시가 많기도 하고 그만큼 중요하기도 하답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항구로는 부산항, 인천항, 광양항, 평택항 등이 있는데요. 오늘은 그중에서도 특히 우리 인천항!의 다른 항구와 차별화된 강점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서울 시내의 모습 (출처 : 구글) 먼저 인천항의 첫 번째 강점이라면 역시 수도 서울과 가장 가까운 항구라는 점입니다. 인천 중구에 위치한 인천항은 서울까지 거리가 다른 항구에 비해 월등히 가까운데요. 우리나라 제1항구라 불리우는 부산항도 이러한 인천항의 강점은 인..
2015. 4. 15. 컨테이너 물동량 기본단위 TEU에 대해 알아보자 컨테이너 물동량의 기본 단위. TEU에 대해 알아봅시다. 인천항은 2014년 컨테이너 물동량 약 233만 TEU를 기록하면서 인천항 개항 이래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2년 연속 컨테이너 물동량 200만 TEU를 넘으며 인천항은 올해 컨테이너 물동량의 목표치를 250만 TEU로 잡았습니다. 물동량의 척도가 되고 있는 TEU. 오늘은 TEU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컨테이너선의 모습 (출처 : 인천항만공사 홈페이지) TEU란 항구에서 다뤄지는 모든 물동량의 기준이 되는 단위입니다. 컨테이너선이나 컨테이너 부두 등에서 주로 쓰이며 이는 표준 컨테이너 크기를 기준으로 설정하여 배나 기차, 트럭 등의 수송 수단간 화물 용량 비교를 손쉽게 하기 위하여 설정하였습니다. 10피트, 20피트, 30피트, 45..
2015. 3. 4. 인천항, ‘환황해권 중심 항만’으로 도약하다! 지난해 인천항은 233만4,970TEU의 컨테이너 물동량을 달성했는데요. 이는 인천항 사상 최대의 수치로 전년도 대비 8.1% 이상의 큰 증가 폭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천항의 급속한 물동량 증가 및 성장은 중국과의 FTA 타결 등에 의한 중국 발 호재로 중국과의 중간재 및 잡화 중심의 무역이 증가하고 베트남과 태국, 말레이시아 등의 공장이전․해외투자규모 확대에 따른 교역 규모 증가 및 항로 신규 개설 등의 영향과 수도권과 충청권이라는 물류 거점에 위치한 인천항의 수요 증가에 의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실제로 인천항을 이용하는 외국적 선사의 컨테이너 물동량 실적을 살펴보았을 때 중국 선사와 대만 선사의 점유율이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는데요. 중국과의 거래가 더욱더 활발해져 인천항의 지속적인 물동량 ..
2015. 2. 24. 2015년 인천항 1월 컨테이너 물동량 통계
2015. 2. 24. 인천항, 1월 컨테이너 물동량 순항 1월 인천항에서 처리된 컨테이너 물동량이 지난해 같은 달 (188,469TEU) 대비 1.0% 증가한 19만 434TEU로 집계됐습니다. 20일 인천항만공사(www.icpa.or.kr)에 따르면, 1월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은 수입이 10만 327TEU로 전체 물량 중 52.7%를 점유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증가율로는 전년 동월 대비 0.7% 감소했습니다. 수출은 8만 8,607TEU으로 6.2% 증가했으며, 환적 및 연안 물동량은 각각 804TEU, 696TEU로 집계됐습니다. 국가별로는 중국 교역량(115,120TEU)이 2.6%(2,891TEU) 증가했고, 베트남(15,676TEU)은 22.0%(2,830TEU), 말레이시아(6,150TEU)는 30.7%(1,445TEU)씩 물량이 늘었습니다. 반..
2015. 2. 2. 2014년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
2015. 2. 2. 2014년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 233.5TEU로 전년 대비 8.1% 증가 인천항의 2014년 컨테이너 물동량이 전년 대비 8.1% 증가한 233만 4,970TEU를 기록했습니다. 이같은 실적은 같은 기간 중 세계 10대 항만(평균 5.3%)이나 국내 주요항(평균 5.4%)*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세입니다. 올 상반기와 연말에 각각 개장할 인천신항의 운영이 궤도에 오르면 컨테이너 물동량 상승세에 더 탄력이 붙을 전망입니다. 1일 인천항만공사(www.icpa.or.kr)에 따르면, 지난해 인천항에서 처리된 컨테이너 물동량은 수입이 120만 3,187TEU, 수출이 110만 3,991TEU로 각각 전년 대비 8.1%, 10.9%씩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환적과 연안 물동량은 각각 1만 6,665TEU와 1만 1,128TEU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2013년의 216만TEU에서..
2015. 1. 12. 인천항만공사 2015년 주요 사업계획 확정 인천항만공사는 12일 사내 대회의실에서 팀별 업무보고회를 열고 2015년 주요 사업계획을 확정했습니다. (사진 : 12일 오전 개최된 인천항만공사 2015년 업무보고 회의에서 유창근 사장이 올해 인천항만공사와 인천항이 나아갈 방향과 핵심사업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 사진제공 = 인천항만공사) 유창근 사장과 임직원들은 이날 보고회에서 개장을 앞두고 있는 인천신항이 성공적으로 오픈하고 운영에 들어갈 수 있도록 부두운영사의 개장 준비와 운영체계 구축을 돕는 일이 올해 가장 중요한 인프라 관련 사업이라는데 인식을 같이 하고, 전사적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또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선박의 입출항과 화물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는 교통·물류체계를 갖추는 한편, 수도권 제2외곽순환도로의 조속한 건설..
2014. 3. 27. 인천항, 對 중국 컨테이너 물동량 점유율 상승 인천항, 對중국 컨테이너 물동량 점유율 상승127만 191TEU, 수출입 점유율 32.2%로 전년 대비 0.9%포인트 상승 2013년 인천항을 통한 대(對) 중국 컨테이너 수출입(환적 제외) 물동량이 전년 대비 6.3% 증가한 127만191TEU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국내 항만을 통한 전체 대 중국 수출입(환적 제외) 물동량 394만3천491TEU 중 32.2%의 점유율. 이 같은 실적은 2012년 31.3% 보다 0.9% 포인트 높아진 수치라고 인천항만공사측은 27일 밝혔다.○ 환적 물동량(11,364TEU)을 포함할 경우 인천항 점유율은 18.9%대로 낮아지지만, 실제로 화물의 교역이 이뤄진 수출입 물량만으로 보면 인천항이 항만을 통한 중국과의 교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분의 1 ..
2014. 3. 14. 인천항포탈에서 인천항 처리 물동량을 확인하는 방법! 인천항포탈에서 인천항 처리 물동량을 확인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이번에 제가 소개해드릴 자료는 인천항 물동량에 대한 기사입니다! 우선! 물동량이 무엇인지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서 물동량을 잠시 설명하고 갈게요! 물동량(物動量)은 물자가 이동한 양이라는 뜻입니다. 그래서 항구의 물동량은 그 항구를 이용하는 수출, 수입은 물론이고 항구를 거쳐서 가는 물건이 모두 포함된 것을 말해요! 그러므로 물동량은 그 항구에 얼마나 많은 화물, 컨테이너가 거쳐 가는가, 그 항구의 이용현황에 대해서 알 수 있는 자료입니다. 이용현황에 대해서 확인한다면 그 항구가 얼마나 활발히 움직이는지, 얼마나 영향력 있는지 알 수 있겠죠? 그만큼 인천항 뿐 아니라 항만·물류와 관련한 많은 기관,기업에서 물동량 수치는 아주 중요한 정보입..
2014. 3. 12. 물류의 교량! 컨테이너 터미널? 컨테이너 터미널은 무슨 일을 처리할까? 현대 물류의 핵심은 컨테이너 물류라 할 수 있습니다. 말콤 맥린이 1950년대 발명한 컨테이너는 이후 빠르게 세계로 퍼져나가며 어마어마한 물동량의 증대를 초래했지요. 이와 같은 컨테이너의 효과 덕분에 말콤 맥린은 지난 2007년 포브스(Forbes)에서 선별한 ‘20세기 후반 세계를 바꾼 인물 15인’에 선정되기도 했답니다. 말콤 맥린(좌), 포브스 선정 15인 中 일부(우) ▲출처 : Google 인명사전 그리고 오늘날 대(對)중국 교역을 통하여 동북아 물류의 허브로 발돋움하고 있는 인천항 역시 총 4곳의 컨테이너 전용 터미널을 운영하면서 컨테이너 물류의 교량 역할을 자처하고 있습니다. 컨테이너 터미널 전경 ▲ 그렇다면 이처럼 중요한 컨테이너를 취급하는 컨테이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