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룡~! 인천항만공사 해룡이에룡~!! 차가운 바람이 쌩쌩 부는 요즘, 날이 갈수록 어두운 하늘을 만나는 시간이 빨라지고 있어요. 어느덧 오후 5시 정도만 되어도 하늘은 이미 어둑어둑해지는데요. 이렇게 점점 짧아지는 해가 가장 짧은 날이 있답니다. 바로 ‘동지’인데요. 오늘은 1년 중 밤이 가장 긴 날인 동지에 대해 인천항만공사 해룡이가 알려드리려고 해룡~!



동지(冬至)는 계절을 알리는 24절기의 22번째 절기로 1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입니다. 천문학적으로는 태양이 적도 이남 23.5도의 동지선(남회구선) 곧 황경 270도의 위치에 있을 때랍니다. 양력으로는 대체로 12월 22일 또는 23일 무렵에 드는데요. 올해의 동지는 12월 22일이랍니다. 

음력 11월을 동짓달이라고도 할 만큼 11월은 동지가 대표하는 달인데요. 양력으로 동지가 음력 동짓달 초순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동지, 그믐 무렵에 들면 노동지라고 합니다. 우리 민족은 태양력인 동지에다 태음력을 잇대어 태음태양력으로 세시풍속을 형성시켜 의미를 부여했다고 해요.



예로부터 동지는 흔히 ‘아세(亞歲)‘ 혹은 ‘작은 설‘로 불리기도 했어요. 점점 짧아지는 해가 동지를 기점으로 다시 길어지기 때문에 태양이 부활하는 날이라는 의미를 가진 명절로 대접을 받은 것인데요. 중국을 비롯한 동양권에서는 동지를 한 해의 시작일로 삼고 1년을 계산하기도 하였답니다. 즉, 동지로부터 내년 동지까지를 1년으로 삼는 것이지요. 지금은 설을 기준으로 1년을 계산하기 때문에 떡국을 먹으면 1살을 더 먹는다고 하는데요. 과거에는 동지에 먹는 팥죽을 먹으면 나이를 한 살 더 먹는 것과 같다는 얘기가 있었다고 해요.



동지의 풍습

전통적으로 동지에는 팥죽을 쑤어 먹는 풍습이 있어요. 팥을 고아 죽을 만들고 여기에 찹쌀로 단자를 만들어 넣고 끓이며, 단자는 새알만한 크기로 만들기 때문에, 새알심이라고 부릅니다. 팥죽을 다 만들면 먼저 사당에 올려 동지고사(冬至告祀)를 지내고, 각 방과 장독, 헛간과 같은 집안의 여러 곳에 팥죽을 놓아두었다가 식으면 온 가족이 모여서 나눠 먹었다고 해요. 팥죽을 쑤는 데 쓰이는 팥은 귀신과 액운을 물리치는 효험이 있다고 중국에서부터 전해져 오는데요. <형초세시기>에는, 중국에 공공(共工)씨가 재주 없는 아들을 두었는데 그 아들이 동짓날에 죽어서 역귀가 되었는데요. 그런데 그 아이가 살아 있을 때, 팥을 두려워했으므로 동짓날에 팥죽을 쑤어 물리친 것을 따르는 것이라고 해요. 하지만 항상 팥죽을 쑤는 것은 아니랍니다.

11월 초순에 드는 애동지인 경우에는 아이들에게 나쁘다는 이유로 팥죽을 쑤지 않고 대신 팥으로 떡을 해먹었다고 해요.



민간에서는 동지부적(冬至符籍)이라 하여 뱀 ‘사(蛇)’자를 써서 거꾸로 붙여 잡귀를 막는 속신이 있으며, 팥죽을 쑤어먹지 않으면 쉬이 늙고 잔병이 생기며 잡귀가 성행한다는 속신이 있어요. 동짓날 날씨가 온화하면 이듬해에 질병이 많아 사람이 많이 죽는다고 하며, 눈이 많이 오고 날씨가 추우면 풍년이 들 징조라고 여기기도 했대요.



궁중에서도 예로부터 동지를 특별하게 지냈다고 해요. 동지를 가장 으뜸되는 축일로 여겨 동짓날 왕과 신하, 왕세자가 모여 회례연이라는 잔치를 베풀었고요. 해마다 중국에 예물을 갖추어 동지사(冬至使)를 파견했답니다. 그리고 왕실에서는 동지 무렵에 맞춰 새해 달력을 나누어 주었어요. 궁중에서는 관상감에서 만들어 올린 달력을 ‘동문지보(同文之寶)’란 어새(御璽)를 찍어서 모든 관원들에게 나누어주는데, 이 달력은 황장력(黃粧曆)·청장력·백력 등의 구분이 있었고, 관원들은 이를 다시 친지들에게 나누어 주었대요. 이러한 풍속은 여름(단오)에 부채를 주고받는 풍속과 아울러 ‘하선동력(夏扇冬曆)’이라 했답니다.


단순히 팥죽 챙겨 먹는 날로만 여겨왔던 동지. 동지가 24절기 중 하나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동지의 풍습과 유래는 어떠했는지에 대해 인천항만공사 해룡이가 함께 알아보았어요. 밤이 가장 긴 날이라니 올해 동지에는 얼마나 긴지 밤의 길이를 한 번 재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아요. 인천항만공사 해룡이는 다음 시간에도 더욱 재미있는 이야기와 함께 올게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