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수지 개선 위해 해상운송서비스 경쟁력 확충해야
최남석 전북대 무역학과 부교수
한국은 만성적인 서비스수지 적자국가
한국은 만성적인 서비스무역 적자국이다.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서비스적자 규모가 증가하였다. 2017년에는 역대 최대규모인 345억 달러 적자를 기록하였다. 한국의 서비스수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반면에 2014년 이후 서비스수출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한국은 2016년 기준 세계 서비스수출 17위이다. 그렇지만 세계 10대 상품수출국 중에서는 서비스수출 순위가 가장 낮다.
문제는 한국 서비스수출 감소의 가장 큰 요인이 우리나라 운송서비스업의 위상 저하에 있다는 점이다. 운송서비스는 사업서비스·여행·건설서비스와 함께 한국의 4대 서비스수출 업종이다. 운송서비스는 2000년 이후 줄곧 한국의 서비스수출 1위를 유지해온 서비스수출 비교우위 업종이었다. 운송서비스 수출은 2007년 449억 달러로 최대치를 기록하였다. 2007년 이후 운송서비스 수출은 감소세를 이어가다가 2017년에는 246억 달러로 급락하였다. 2005년 수준으로 우리나라의 운송서비스 수출 위상이 떨어졌다.
운송서비스는 여전히 한국의 최대수출 서비스업종이지만, 서비스무역 역조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비교열위 업종으로 무역패턴이 급격히 바뀌었다. 운송서비스수지 흑자는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렇지만 2016년에는 처음으로 운송서비스수지 적자로 전환하였으며 2017년에는 역대 최대 수준인 53억 달러로 운송서비스 적자가 늘어났다. 운송서비스 적자는 2017년 한국의 서비스수지 적자의 15.3% 비중을 차지한다. 운송서비스는 크게 해상운송 서비스와 항공운송 서비스로 나눌 수 있다.
해상운송서비스 적자가 가장 주요한 요인
한국은행 국제수지 자료에 따르면 운송서비스업 중에서도 해상운송서비스의 무역패턴이 최근 급격하게 비교열위로 전환되었다. 해상운송 서비스수지는 2000년대 지속적으로 흑자를 유지하다가 2016년 처음으로 13.4억 달러 적자로 전환되었다. 2017년에는 해운서비스 적자가 역대 최대 수준인 47.8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우리나라 서비스수출업종 중에서 최대 비교우위 산업이었던 해상운송서비스업은 2016년 이후 비교열위 산업으로 급전락하였다. 2016년 법정관리 신청 이후 1년 반 만에 사라진 한진해운과 해운산업 전체의 비효율적인 구조조정이 해운서비스 산업이 비교열위로 급락하게 만든 가장 주요한 요인이라고 평가된다.
그렇지만 이보다 먼저 한국 해송운송서비스의 수출경쟁력은 2012년부터 이미 낮아지고 있었다. 해상운송서비스 산업의 수출은 2012년 322억 달러로 수출 피크를 기록한 이후 감소하는 추세다. 한국의 해상운송서비스 수출은 2017년에 177억 달러로 떨어져서, 10여 년 전인 2006년 203억 달러 보다도 낮아졌다. 해운서비스업의 수출경쟁력은 10년 째 낮아지고 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한국 해운서비스업은 생산유발효과가 낮고, 생산성이 저조하다. 또한 한국 해운서비스업은 그리스, 일본, 독일 등 글로벌 해운강국에 비해 수입중간재 투입률이 높아서 부가가치유발효과가 낮다. 한국 해운서비스 산업의 낮은 생산성은 만성화되고 있다.
'콘텐츠 > Toge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럼] Smart Port 4.0 : 인천항의 미래비전과 전략 (0) | 2018.05.30 |
---|---|
[최보기의 책보기] 42 - 장자화의 사기 (0) | 2018.05.23 |
[최보기의 책보기] 41 -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상상력 사전 (0) | 2018.04.24 |
[칼럼] 비상사태 시 항만기능유지 법안 제정에 대한 의견 (0) | 2018.03.22 |
[최보기의 책보기] 32 - 항상 변화에 대비하라는 간결한 메시지 (0) | 2017.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