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동맹에 대해 알아보자!


이번 시간에는 해운동맹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물류를 공부하신 분들, 그 중에서도 해운에 대한 수업을 들으셨던 분들에게는 아주 쉬운 주제입니다. 하지만 해운에 대해 전혀 모르시는 분들도 이번 포스팅을 통해 약간의 설명만으로도 쉽게 알 수 있는 주제입니다. 우선 해운동맹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사전적 정의부터 알아봅시다!

 

 해운동맹(海運同盟, shipping conference)-정기선 해운에 있어서는 각 선사 간에 집화경쟁이 치열하게 되고 일단 특정 항로가 선복과잉에 직면하게 되면 그 항로에 참가한 모든 선사의 존립을 위태롭게 할 수 있는 파멸적인 운임전쟁(rate war)으로 치닫게 된다. 이러한 파멸적인 경쟁에 이르기 전에 선주 상호간에 협조체제를 확립하여 경쟁을 배제하고자 생겨난 것이 바로 해운동맹인 것이다.(출처-NEW 경제용어사전, 2006.4.7, 미래와경영)


 위의 사전적 정의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해운동맹은 말 그대로 해운업자들이 운임을 깎지 않기 위해 맺은 일종의 공급자 카르텔을 얘기합니다. 세계적으로 해운의 호황기였던 1970년대에는 그 수가 350여 개에 이르기까지 했는데 대표적인 동맹으로는 한일-북미태평양운임동맹(TPFCJK), 홍콩∙대만-북미서안운임동맹, 북미서안-아시아운임동맹(PWC) 등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후 해운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면서  2008년 유럽연합(EU)은 이들 해운동맹에 부여했던 ‘독점법 면제특권’을 더 이상 주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 결정에 따라 같은 해 세계 최대 해운동맹 가운데 하나인 구주운임동맹(FEFC∙Far East Freight Confernce)이 해체되었습니다. 

 해운동맹은 가맹을 희망하는 선박회사에게 무조건으로 가입을 인정하는 개방적 동맹(open conference:미국식)과 일정한 조건을 붙여 가입을 인정하는 폐쇄적 동맹(closed conference:영국식)이 있다. 또한 폐쇄적인 동맹에서 갖고 있는 독특한 운임 책정방식도 있습니다.





 현존하는 해운동맹은 크게 4강체제로 볼 수 있습니다.




**2M의 구성 해운사인 MAERSK(업계 1위), MSC(업계 2위) 그리고 O3의 구성 해운사인 츰-CGM(업계 3위)는 P3이라는 동맹을 결성하여서 출범을 앞두고 있다가 올해 6월 중국정부의 반대로 무산되었습니다. 이는 중국정부의 자국 해운업체를 보호하기 위함으로 보이는데요, P3이 출범되었더라면 세 개의 선사로 만들어진 한 개의 해운동맹이 전 세계 컨테이너화물의 약 40%나 점유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해운동맹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두 개의 선사인 한진과 현대상선도 해운동맹에 가입했지만 해운동맹 자체는 국내 조선 및 항만 업계에 기회가 될 수도 있고 위협도 될 수 있습니다. 해운동맹의 파워가 커지면서 각 선사들은 대형선박들을 수주할 것인데 이를 국내의 조선업체는 기회로 삼아 일보 더 나아갈 기회로 삼아야 합니다. 하지만 대형선박을 이용한 운송은 물동량이 많은 항만을 필요로 하는데 중국의 몇몇 항만(상하이, 선전, 닝보)와 비교하면 인천항과 부산항의 물동량이 많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국내의 해운업계는 이를 타개할 방법을 모색해야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