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인천신항에서 처리된 컨테이너 물동량 비중은 인천항 총 물동량 중 60%를 차지하고, 각 터미널도 처음으로 100만TEU 이상을 처리하면서 인천항 물류중심은 인천신항으로 이전되고 있으며,

 

○ 인천신항 항만배후단지 및 아암물류2단지의 순차적인 공급과 함께 도로 등 이를 지원할 물류 인프라 개발도 추진되면서 인천신항의 경쟁력이 높아지고 있다.

 

○ 인천항만공사(www.icpa.or.kr, 사장 최준욱)는 증가하는 컨테이너 물동량 추세에 맞춰 인천신항 1-2단계 컨테이너 부두시설 공급*을 준비하고 있으며, 이를 지원할 주변 교통시설 개발도 속속 본격화 되면서 물류처리 속도는 더욱 더 빨라질 전망이라고 밝혔다.

     * (기간) ’19년 ∼ ’25년, ’26년 개장 / (규모) 4천TEU급 ‘컨’부두 3선석 / (예산) 6,355억원

 

○ 먼저, 인천신항 진입 지하차도 건설계획이 제4차 항만기본계획에 반영되면서 사업추진에 탄력을 받게됐다.

 

○ 인천송도 11공구 첨단사업클러스터를 관통하는 기존 도로 아래 지하차도를 건설하는 사업으로 그동안 관계기관 간 노선 및 건설비 분담방안 협의가 진행되는 동안 신항 진입도로를 대형화물차와 일반차량이 함께 이용하면서 생기는 교통혼잡과 안전문제가 계속해 제기됐다.

 

○ 길이 4.3km, 너비 20m의 왕복 4차로 지하차도가 계획대로 ’23년에 착공해 ’25년 준공된다면 인천신항 1-2단계 부두 운영(’26년 예정)과 맞물려 물동량 증대와 물류 흐름 개선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 또한, 인천신항 및 국제여객터미널 개발에 따른 물류흐름 개선과 교통체증 해소에 도움이 될 제2순환고속도로 건설(인천∼안산, 19.8km)도 추진되고 있다.

 

○ 제2순환고속도로는 인천신항과 송도국제도시를 관통하는 교통시설로 현재 인천신항과 국제여객터미널을 이용하는 화물차량 처리를 위해 필요한 교통시설이나 습지보호지역(람사르습지) 통과에 따른 환경문제 등으로 사업이 지연되면서 주변 고속도로(제2·3경인고속국도)에 진입하기 위해 주거지역 인근 도로를 이용함에 따른 교통체증을 유발해왔다.

 

○ 인천항만공사는 미개통구간 중 아암나들목∼송도분기점과 남송도 나들목∼시화나래나들목 구간의 우선시공을 통한 조기개통을 국토교통부에 건의한 상태이며, 최근 시화나래 나들목∼오이도 나들목 구간 추진이 결정된 만큼 이 구간이 개통되면 고속도로 진입을 위한 시간이 대폭 감소하게 되면서 교통흐름 개선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이 외에도, 인천신항에 최첨단 자동화 하역장비인 무인자동화 야드크레인 6기가 지난해 8월 한진인천컨테이너터미널(HJIT)에 추가 반입되면서 컨테이너 야드의 작업속도와 효율이 개선돼 터미널을 출입하는 운송차량 흐름도 더 원만해지고 있으며,

 

○ IPA는 늘어가는 컨테이너 물동량 추세에 맞춰 신호체계 개선,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등 인천항 이용고객에게 더 혁신적이고, 안전하고, 편리한 서비스 제공을 확대해 나가기 위해 계속 노력해 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