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16.
[인천항 타임즈] 인천항만공사, 인천 남항 모래부두 운영사 선정 공고
7일부터 내달 22일까지 공고 실시,사업계획서 평가를 거쳐 우선협상자 선정 IPA는 7일부터 내달 22일까지 인천 남항 모래부두 운영사 선정 모집공고를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IPA에 따르면, 수도권 해사(海沙) 물류의 중심인 모래부두는 1996년 조성 이후 수도권 건설산업의 거점으로 자리매김하며,인천항 해사 물동량의 대부분을 처리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번 운영사 선정 대상시설은 전체 면적 1만 2,934㎡로 모래부두 1선석, 에이프런*(Apron) 900㎡,비포장 야적장 1만 2,034㎡이며, 연간 사용료는 약 3,800만 원 입니다. * 에이프런 : 부두 배후에 있는 화물의 하역작업을 위한 크레인 작업공간 이번 공고는 인천항에서 바다 골재 채취허가 승인을 받은 업체를 대상으로 추진되며,해운·..
2024. 7. 31.
[인천항 타임즈] 인천항, 역대 상반기 최대 '컨' 물동량 기록
인천항의 올해 상반기 컨테이너 물동량이 지난해 대비 8.5% 증가한 178만 9,864TEU를 기록했습니다.이는 역대 상반기 최대 처리 실적인데요! 올해 4월부터 컨테이너 운임 급증세로 수출입 물류의 애로사항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서도인천항 물동량은 높은 증가세를 보인 것입니다. 올해 상반기 수출 물동량은 87만 1,592TEU, 수입 물동량은 88만 9,908TEU로 각각 지난해 동월 대비 9.2%, 7.2%씩 증가했으며, 환적 물동량은 2만 8,363TEU를 기록했습니다. 대(對)중국‧베트남‧대만과의 수출입이 활발한 것이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생각되는데요. 특히, 대(對)중국 수출에서는 기계류, 잡화, 섬유류, 수입에서는 전기기기, 섬유류, 플라스틱‧고무제품이 증가했습니다...
2024. 7. 24.
[인천항 타임즈] IPA, 인천↔동남아 컨테이너 신규항로 개설
인천항만공사는 고려해운, 남성해운, ONE, PIL이 공동 운영하는 ‘코리아 차이나 말레이시아(Korea China Malaysia, KCM4)’ 서비스가 인천항에서 신규 운영된다고 밝혔습니다. 한국-말레이시아 서비스인 KCM4는 2,540~2,754TEU급 선박 4척이 투입되는 주 1항차 서비스로, 인천-중국 칭다오(淸島, Qingdao)-상하이(上海, Shanghai)-싱가포르(Singapore)-말레이시아 포트클랑(Port Klang)-베트남 호치민(Ho Chi Minh)-중국 서커우(蛇口, Shekou)-부산-인천을 기항합니다. 인천항만공사는 이번 동남아시아 및 남중국 기항지 항로 연결을 통해 선사에 안정적인 선복을 제공함으로써, 연간 6만TEU 이상의 컨테이너 물동량이 창출될 것으로 예상..
2024. 5. 8.
[인천항 타임즈]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 역대 1분기 중 최고 기록!
올해 인천항의 1분기 컨테이너 물동량이 전년 동기 대비 8.7% 증가하여 87만 48TEU를 기록했습니다!이는 역대 1분기 최대 기록입니다. 올해 1분기 물동량은 수출 42만 8,564TEU, 수입 42만 6,176TEU로 각각 전년 동월 대비 11.0%, 6.0%씩 증가했으며, 환적 물동량은 3,878TEU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1분기 차량 수출은17만 8,460대를 기록했으며, 신차의 경우 지난해 1분기 6만 2,678대에서 올해 6만 8,842대로 증가했습니다.또한 컨테이너로 수출되는 월 대수는올해 4천대 수준 이상을 보였습니다. 인천항만공사는 대(對)중국 수출입,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수출 물동량 호조 및 신차와 중고차의 수출 컨테이너화 증가 등을 물동량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분석하고 ..
2024. 4. 3.
[인천항 타임즈]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 7개월 연속 증가!
지난달 인천항이 역대 2월 컨테이너 물동량 중 최대치인 26만 1,235TEU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14.1% 증가한 것이며, 7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입니다. 수출 물동량은 13만 3,587TEU, 수입 물동량은 12만 3,305TEU로 각각 전년 동월 대비 12.1%, 16.1%씩 증가했으며, 환적 물동량은 4,343TEU를 기록하였는데요. 미‧중 무역 분쟁에 따른 대(對)중국 무역 환경 변화와 내수 부진에 따른 어려운 대외 여건에서도 인천항의 컨테이너 물동량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신차의 경우, 컨테이너선으로 운송하는 수출 대수가 5,300대로 지난해 대비 대폭 증가하여 이번 물동량 증가에 일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