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상반기 컨테이너 물동량 124만TEU
FTA체결 영향, 중국․베트남 물동량 늘어 전년 동기 대비 8.8% 증가
인천항만공사(www.icpa.or.kr 사장 유창근)는 올해 상반기 인천항에서 처리한 컨테이너 물동량이
지난해 동기 113만7천TEU 보다 8.8% 증가한 123만8천TEU로 집계됐습니다.
26일 인천항만공사(IPA)에 따르면 이같은 실적은 인천항에서 처리한 역대 상반기 물동량 중 최대치로서 2013년 104만2천TEU로 상반기 중 100만TEU 달성이후 연평균 5.9%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체 물동량 가운데 수입 화물은 63만8,310TEU로 51.6%를 차지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5만1,174TEU 증가했습니다. 수출은 58만7,519TEU로 전년 동기보다 4만9,480TEU 늘어났습니다.
환적 및 연안 물동량은 각각 7,220TEU, 4,800TEU를 기록했습니다.
국가별로는 대 중국 물동량(732,953TEU)은 6.9%(47,519TEU), 베트남 물동량(105,182TEU)은
20.8%(18,086TEU) 증가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발효된 한·중 FTA 및 한·베트남 FTA의
영향에 따른 물동량 증대효과가 반영된 결과로 보입니다.
지역별로는 중국을 포함한 극동아시아 물동량(887,602TEU)은 8.2%(67,477TEU) 늘었습니다.
동남아 물량(244,966TEU)은 12.6%(27,374TEU) 늘었으며, 주요 증가품목은 잡화류,
기계류 및 부품, 플라스틱·고무제품 등 22개 품목이 증가했습니다.
한편 같은 기간 중 벌크 물동량은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한 6,099만톤(RT)*을 기록했습니다.
* RT : 중량이나 용적 단위로 산출되며, 둘 중 운임이 높은 쪽이
실제 운임으로 결정되는 운임톤(Revenue tons)을 말합니다.
수입은 3,698만톤으로 전체 물량 중 60.6%를 차지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를 기록했습니다.
수출화물은 592만톤으로 비중은 9.7%, 전년 동기 대비 0.8% 감소했습니다.
연안화물은 29.5% 비중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4% 증가를 기록했습니다.
유창근 IPA 사장은 “올해 인천신항 한진인천컨테이너터미널이 개장하면서 높은 물동량 증가를 보이고 있고 특히 7월물동량의 경우 그 성장폭이 커 8월 초에는 150만TEU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내년에는 1월부터 순차적으로 인천신항의 완전 개장이 예정되어 있는 만큼
인천항 물동량은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참고 1] 상반기 컨테이너 물동량 (단위 : TEU, %)
구분 |
수입 |
수출 |
환적 |
연안 |
합계 |
ˊ15.상반기 |
587,136 |
538,038 |
7,400 |
4,667 |
1,137,241 |
ˊ16.상반기 |
638,310 |
587,519 |
7220 |
4800 |
1,237,848 |
증감량 |
51,174 |
49,480 |
△180 |
133 |
100,076 |
증감율 |
8.7 |
9.2 |
△2.4 |
2.9 |
8.8 |
물동량 비중 |
51.6 |
47.5 |
0.6 |
0.4 |
100.0 |
[참고 2] 세계 지역별 상반기 컨테이너 물동량 (단위 : TEU, %)
구분 |
ˊ15.상반기 |
ˊ16.상반기 |
증감량 |
증감율 |
합계 |
1,137,241 |
1,237,848 |
100,607 |
8.8 |
극동아시아 |
820,126 |
887,602 |
67,477 |
8.2 |
동남아 |
217,592 |
887,602 |
67,477 |
12.6 |
일본 |
31,018 |
31,452 |
434 |
1.4 |
유럽 |
22,416 |
16,672 |
△5,744 |
△25.6 |
서남아 |
11,612 |
11,737 |
125 |
1.1 |
북미주 |
3,551 |
11,627 |
8,077 |
227.5 |
남미 |
9,420 |
7,873 |
△1,547 |
△16.4 |
중미 |
2,689 |
6,372 |
3,683 |
137.0 |
중동 |
6,837 |
6,036 |
△801 |
△11.7 |
아프리카 |
4,879 |
4,754 |
△125 |
△2.6 |
대양주 |
2,391 |
2,746 |
355 |
14.8 |
기타지역 |
4,712 |
6,011 |
1,299 |
27.6 |
[참고 3] 주요 증감 국가별 상반기 컨테이너 물동량 (단위 : TEU, %)
구분 |
ˊ15.상반기 |
ˊ16.상반기 |
증감량 |
증감율 |
|
주요 증가 국가 |
중국 |
685,434 |
732,953 |
47,519 |
6.9 |
대한민국 |
50,478 |
69,402 |
18,925 |
37.5 |
|
베트남 |
87,096 |
105,182 |
18,086 |
20.8 |
|
미국 |
3,379 |
11,302 |
7,924 |
234.5 |
|
대만 |
37,533 |
42,880 |
5,347 |
14.2 |
|
주요 감소 국가 |
루마니아 |
5,901 |
1,749 |
△4,152 |
△70.4 |
독일 |
4,935 |
2,475 |
△2,460 |
△49.8 |
|
홍콩 |
42,040 |
40,031 |
△2,009 |
△4.8 |
[참고 4] 월별 컨테이너 물동량 (단위 : TEU, %)
구분 |
ˊ14년 |
ˊ15년 |
ˊ16년 |
차이량 |
증감율 |
1월 |
188,469 |
190,602 |
209,107 |
18,505 |
9.7 |
2월 |
139,007 |
171,387 |
167,683 |
△3,704 |
△2.2 |
3월 |
193,692 |
176,521 |
203,050 |
26,529 |
15.0 |
4월 |
197,917 |
201,039 |
223,199 |
22,160 |
11.0 |
5월 |
206,391 |
201,495 |
216,813 |
15,319 |
7.6 |
6월 |
200,099 |
196,198 |
217,996 |
21,798 |
11.1 |
7월 |
206,618 |
197,898 |
|
|
|
8월 |
204,140 |
201,220 |
|
|
|
9월 |
192,234 |
202,518 |
|
|
|
10월 |
208,453 |
214,550 |
|
|
|
11월 |
208,170 |
210,236 |
|
|
|
12월 |
189,751 |
213,335 |
|
|
|
합계 |
2,334,939 |
2,376,996 |
1,237,848 |
100,607 |
8.8 |
[참고 5] 벌크화물 물동량 (단위 : 천RT, %)
구분 |
상반기 물동량 |
증감량 |
증감율 |
점유율 |
||
2015년 |
2016년 |
|||||
전체 |
58,173 |
60,986 |
2,813 |
4.8 |
100.0 |
|
수출입 |
소계 |
42,165 |
42,901 |
737 |
1.7 |
70.3 |
수입 |
36,194 |
36,977 |
783 |
2.2 |
60.6 |
|
수출 |
5,970 |
5,924 |
△46 |
△0.8 |
9.7 |
|
환적 |
282 |
88 |
△194 |
△68.9 |
0.1 |
|
연안 |
15,726 |
17,997 |
2,271 |
14.4 |
29.5 |
'뉴스 > 오늘의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신항 통한 식용대두 수입 전년대비 300% 증가 (0) | 2016.07.28 |
---|---|
8월부터 인천신항 ’컨’터미널 선박급수 서비스 개시 (2) | 2016.07.28 |
인천항 6월 컨테이너 물동량 21.8만TEU (0) | 2016.07.26 |
인천신항·북항배후단지 연결 대중교통 편리해진다 (0) | 2016.07.25 |
인천항 제1국제여객터미널 내 택시 이용 쉬워져 (0) | 2016.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