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2025. 2. 5. [인천항 타임즈] IPA, 예측조위 공개 및 안전 해양 활동을 위한 사전 대비 필요성 강조 지난 30일, 인천항만공사는 해수면 상승에 대비하기 위해 인천항 예측 조위 목록을 공개하고,고조정보 단계에 따른 대응을 준비한다고 밝혔습니다.​국립해양조사원 자료에 따르면, 해수면 상승은 4단계로 분류되며,내달 1일부터 ‘관심단계’는 올해 총 28회, ‘주의단계’는 총 34회가 예상됩니다.​침수 피해 가능성이 큰 ‘경계단계’와 ‘위험단계’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관심단계’는 해수면 상승이 경미한 수준으로 큰 피해가 예상되지 않지만,사전 대비가 필요한 경고 수준이며, ‘주의단계’는 해수면 상승이 더 심각해질 가능성이 있는 경우로,해당 단계에서는 민감한 해양활동을 해야 하는 기관들이 예의주시하며 대응책을 준비합니다.​‘경계단계’와 ‘위험단계’는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침수 피해가 매우 높을 가..
2021. 7. 27. [전지적 해린이 시점] 온실가스를 흡수하는 우리나라 갯벌의 역할 feat. 블루카본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 전 세계가 함께 해결해야 할 숙제인데요. 최근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답니다. 바로 우리나라 갯벌이 연간 승용차 11만 대가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흡수한다는 사실!(두.둥) 서울대 연구팀은 해양수산부의 지원 아래 우리나라 갯벌의 탄소흡수 역할 및 기능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는 연구를 실시했는데요. 연구결과는 국제저명학술지인 ‘종합환경과학회지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최신호에 실려 국제적인 관심을 모았답니다.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떠오른 우리나라의 갯벌! 자세한 내용을 해린이와 함께 살펴볼까요? 해양수산부는 2017년부터 갯벌의 블루카본 흡수량과 범위를 파악하기 위해 ‘블루카본 정보시스템 구축 및 평가관리기술 개발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