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글로벌 컨테이너항만 순위 50위권 도약


2016년 268TEU 처리해 57위 랭크, 올해 300만 TEU 달성시 40위권 진입 전망



○ 인천항이 2016년 역대 최고 컨테이너 물동량인 268만TEU를 처리해 글로벌 57위 컨테이너 항만으로 도약했다. 2015년 67위에서 10계단 상승한 결과다.

     

○ 인천항만공사(www.icpa.or.kr, 사장 남봉현)는 프랑스의 해운조사기관 알파라이너(www.alphaliner.com)가 집계해 최근 발표한 ‘2016년 전 세계 100대 컨테이너항만 순위’(Top 100 Container Ports : 2016 Throughput)에서 인천항이 57위를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 인천항만공사(IPA)에 따르면 인천항은 2014년 233만TEU를 처리해 71위, 2015년 238만TEU를 처리해 67위를 기록하는 등 소폭 전진했지만 큰 순위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2016년에는 세계 컨테이너항만 순위에서 전년대비 무려 10계단이나 상승해 50위권에 진입에 성공했다.

     

○ 2016년 전 세계 100대 컨테이너 항만 순위를 살펴보면 인천항의 2016년 물동량은 전년대비 12.7% 증가해 세계 50위권 항만 중 두 번째로 높은 물동량 증가율을 보였다. 50위권 항만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항만은 330만 TEU를 처리해 전년대비 29.4% 증가한 오만의 살랄라(Salalah)항이다.

     

○ IPA는 인천항이 올해 컨테이너 처리 목표인 300만 TEU 를 달성할 경우 세계 컨테이너항만 순위 40위권에 진입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2016년 기준 48~50위를 달성한 항만은 이집트의 포트세이드(Port Said)항, 모로코의 땅제메드(Tangier Med)항, 중국의 르자오(Rizhao) 항으로 이들 은 근소한 차이는 있으나 모두 각 300만 TEU를 처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 IPA 관계자는 세계 경기침체와 해운시장 장기불황, 항만 경쟁구도 심화라는 악조건 속에서 지난해 인천항이 선전할 수 있었던 대표적인 사유를 인천항 유관기관 및 민간 주체와의 협업으로 꼽았다. IPA는 지난해 검역·통관 행정당국 등 항만 유관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 개선을 추진했으며, 선사·부두 운영사 등 여러 민간 주체들과 상호 협력해 물동량 증대 및 신규항로를 유치를 위해 노력했다.

     

○ 아울러 IPA는 축산물·과일류 등 고부가가치 냉동냉장 화물 및 곡물·사료·가구 등 대량화물의 물류경로 분석을 통해 화주와 선사를 연계하는 방식의 마케팅을 꾸준히 전개한 것도 위와 같은 성과 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 IPA는 여세를 몰아 올해에도 주류·식자재, 비철금속·의류·제지 등 새로운 고부가가치, 대량화물을 타깃으로 지속적인 유치 마케팅을 펼쳐 물동량 증가세에 탄력을 붙이겠다는 계획이다.

     

○ IPA 남봉현 사장은 “인천항 가족과 함께 힘을 모아 고객 만족을 위한 서비스 개선과 마케팅에 전력을 다해 2017년 목표인 300만TEU를 달성하고, 세계 40위권 항만에 진입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