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물포

2015. 3. 24. [문학작품으로 읽는 인천항 풍경] 2화 제물포와 김소월의 '밤' 문학작품으로 읽는 인천항 풍경! 그 두 번째 시간으로 '진달래꽃'으로 널리 알려진 김소월 시인의 '밤'(1922)이란 시를 통해 그 시대의 인천항 모습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김소월(1902~1934)은 한국 서정시의 기념비적 작품인 '진달래꽃'으로 널리 알려진 시인입니다. 한국의 전통적인 한을 노래한 시인이라고 평가받으며 짙은 향토성을 전통적인 서정으로 노래하여 오늘날까지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금잔디', '엄마야 누나야', '산유화' 외 많은 명시를 남겼습니다. 홀로 잠들기가 참말 외로워요.맘에는 사무치도록 그리워와요.이리도 무던히아주 얼굴조차 잊힐 듯해요. 벌써 해가 지고 어두운데요.이곳은 인천(仁川)에 제물포(濟物浦), 이름난 곳,부슬부슬 오는 비에 밤이 더디고바닷바람이 춥기만 합니다. 다만..
2015. 1. 5. 인천항의 전신인 ‘제물포’, 제물포조약의 역사적 배경은? 인천항의 전신인 ‘제물포’, 제물포조약의 역사적 배경은? (과거 제물포의 모습 / 출 – 살아있는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 ‘제물포조약’ 일본의 이권침탈이 본격화 되다.인천항은 조선 전기에는 ‘제물포’라고 불리며 한국 유일의 군사 설비를 갖춘 군항으로 역할을 했습니다. 제물포라는 이름은 ‘거친 들판의 물로 둘러싸인 마을’이라는 뜻이 담겨져 있습니다.과연 과거 ‘제물포’ 항과 관련된 역사적 사실은 무엇인지 역사기행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제물포조약’ 1. 정의 = 1882년(고종 19) 임오군란으로 발생한 일본 측의 피해보상 문제 등을 다룬 조선과 일본 사이의 조약. *임오군란 = 신식군인에 비해 구식군인의 대접이 형편없고 월급도 제대로 안줘 구식군인이 폭동을 일으킨 사건이며, 결과적으로 제물포조약의 강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