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룡~! 인천항만공사 해린이에룡~!! 태양의 위치에 따라 1년을 24개로 나눠 계절을 구분하기 위해 만든 24절기에 대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앞서 1년 중 낮의 길이가 가장 긴 하지를 소개해드린 바 있어요. 오늘은 24절기 중 11번째 절기인 ‘소서‘에 대해 알아볼 차례입니다. 작은 더위라는 의미를 가진 이름답게 본격적인 더위의 시작을 알리는 소서의 의미와 유래를 찾아 인천항만공사 해린이와 함께 떠나볼까룡?



소서는 24절기 중 11번째이자, 여름에 해당하는 6개의 절기 중에서는 5번째에 해당하는 절기로 하지(夏至)와 대서(大暑) 사이에 듭니다. 태양이 황경 105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며, 음력으로는 6월, 양력으로는 7월 7일 또는 8일 무렵입니다. 소서(小暑)라는 이름 그대로 ‘작은 더위‘라고 불리며 이날부터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됩니다.



소서 무렵의 전후 15일을 3후(三侯)로 나누기도 하는데, 『고려사(高麗史)』에서는 소서는 6월의 절기로 초후(初候)에는 따뜻한 바람이 불어오고, 차후(次候)에는 귀뚜라미가 벽에서 살며, 말후(末候)에는 매가 새를 잡기 시작하는 시기라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무렵에는 여름 장마철이라 장마전선이 한반도에 머물고 있는 기간이기 때문에 습도가 높고 비가 많이 내립니다. 하지 무렵에 모내기를 끝낸 모들이 뿌리를 내리는 시기로, 농가에서는 모를 낸 20일 뒤 소서에는 논매기를 했습니다. 두레를 행하던 예전에는 어느 논에나 보리를 심었기 때문에 지금보다 모를 내는 시기가 훨씬 늦어 소서 무렵에나 모내기를 했습니다. 

하지만 소서를 지나 무더위가 도래하기 전에 모심기를 마치는 것이 벼의 성장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최소한 소서에는 모내기를 끝내기 위해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모내기에 참여하였습니다. 이처럼 모든 일손을 동원해서라도 소서 이전에 모내기를 끝내야함을 강조하는 의미의 ‘소서가 넘으면 새 각시도 모심는다’라는 속담이 전해져 내려오기도 합니다.



농가에서는 소서 무렵 논둑이나 밭두렁에 풀을 베어 퇴비를 장만하였고, 가을보리를 베어낸 자리에는 콩이나 조, 팥을 심어 이모작을 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이때는 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때여서 과일과 채소가 익어가는 철로 제철채소인 오이, 애호박, 감자 등을 주로 먹었으며, 자두, 토마토, 수박, 참외 등도 챙겨 먹으면서 더위를 식혔다고 합니다.

그리고 소서 무렵에는 밀과 보리를 수확하는 철이기도 하여, 국수나 수제비와 같은 밀가루 음식을 즐겨 먹기도 했습니다.



절기상 여름의 절정에 해당하는 소서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소서를 지나 대서를 거치면 어느덧 가을의 초입인 입추가 성큼 다가옵니다. 계절의 흐름이 정말 빠름을 느낄 수 있네요. 소서의 더위를 피하기 위해 조상님들이 먹던 음식들을 먹으며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무더위를 잘 버티고 서서히 다가오는 가을을 맞이할 준비를 해보도록 해요. 인천항만공사 해린이와 함께 한 오늘의 스터디타임은 여기까지입니다. 다음 시간에도 유익한 정보로 다시 찾아올게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