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연간 컨테이너 물동량, 200TEU 돌파

1110일 오전 달성, 연말까지 235TEU 예상 전년(126)보다 1개월여 단축


인천항에서 올해 처리한 컨테이너 물동량이 지난 1110일 오전 200TEU를 돌파했습니다. 지난해 125일의 사상 첫 200TEU 돌파 시점보다 1개월 정도 빠른 추세입니다.

1TEU20피트(6미터) 길이의 컨테이너 박스 1개를 말하는 규격으로, 200TEU 실적은 해당 기간 동안 20피트 규격 컨테이너 200만개를 처리했다는 의미입니다.

12일 인천항만공사(www.icpa.or.kr, 사장 유창근)에 따르면,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 잠정집계 결과, 1110일 오전 인천항의 연간 컨테이너 처리량이 200TEU를 넘어섰습니다다. 지난해 1110일 기록은 184733TEU입니다.

인천항만공사(IPA)는 전년 대비 8.7% 증가율을 보이고 있는 현재와 같은 물동량 추세가 이어질 경우, 연말까지 8%대 수준의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세를 기록해 총 235TEU 안팎의 실적을 낼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국가별 물동량 증가세를 보면 중국이 2013년에 비해 8.9%(96,851TEU) 증가했고, 베트남 21.5%(22,525TEU), 태국 25.1%(16,798TEU), 말레이시아 18.2%(10,305TEU) 물량이 늘어나 중국 및 동남아 국가들과의 교역량 증가 현상이 뚜렷했습니다.

권역별로는 극동아시아 물량이 7.0%(94,263TEU), 동남아시아 19.4%(58,348TEU), 서남아시아 72.5%(10,205TEU)의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물동량 증가의 주요 원인은 동남아권 신규항로 개설, 수도권 및 충청권 일대 수출입 물량이 물류 최적경로 상에 있는 인천항을 이용하는 사례가 조금씩 늘어나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풀이됩니다.

, IPA는 물동량 창출을 위해 수도권 수출입 기업들과 해외 선사 등을 대상으로 화물과 항로 유치 노력을 경주해 온 마케팅 활동이 조금씩 성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IPA는 특히 내년에 개장하는 인천신항 운영 효과와 한중 FTA에 따른 교역량 증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추진함으로써 인천항을 대한민국 컨테이너 2위 항만이자 환황해권의 중심 거점항으로 자리매김해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IPA 물류산업육성팀 김종길 실장은 지난 10일은 한중 FTA의 실질적 타결이 선언된 날이자, 동시에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이 200TEU를 돌파한 의미 있는 날이라며 올해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내년 신항 개장 준비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300TEU를 최단 기간 내에 달성해 세계 컨테이너 40위권 항만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참고 1컨테이너 물동량 (ˊ14.11.10 오전 집계 기준)

(단위 : TEU, %)

구분

수입

수출

환적

연안

합계

ˊ13.11.10 누계

946,880

849,118

14,585

30,151

1,840,733

ˊ14.11.10 누계

1,031,573

944,183

14,992

10,151

2,000,898

증감량

84,693

95,065

407

-20,000

160,165

증감율

8.9

11.2

2.8

-66.3

8.7

물동량 비중

51.6

47.2

0.7

0.5

100.0

참고 2세계 지역별 컨테이너 물동량 (ˊ14.11.10 오전 집계 기준)

(단위 : TEU, %)

구분

ˊ13.11.10

ˊ14.11.10

차이량

증감율

합계

1,840,733

2,000,898

160,165

8.7

극동아시아지역

1,341,622

1,435,885

94,263

7.0

동남아시아지역

301,037

359,385

58,348

19.4

서남아시아지역

14,076

24,281

10,205

72.5

일본지역

43,940

52,272

8,332

19.0

중동지역

8,930

14,136

5,206

58.3

남미지역

10,541

14,547

4,006

38.0

아프리카지역

11,081

14,620

3,539

31.9

중미지역

3,560

5,776

2,216

62.2

대양주지역

5,798

5,562

-236

-4.1

북미주지역

9,941

8,436

-1,505

-15.1

유럽지역

60,033

55,317

-4,717

-7.9

국내 및 기타지역

30,175

10,682

-19,493

-6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