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룡~! 인천항만공사 해룡이에룡~!!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이루어진 반도 국가입니다. 그래서 서쪽의 바다를 서해, 남쪽의 바다를 남해, 그리고 동쪽의 바다를 동해라고 불렀는데요. 하지만 최근 일본에서 동해 바다를 국제사회에서 정식 명칭으로 일본해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네요! 이게 무슨 일인지 지금부터 인천항만공사 해룡이와 함께 알아볼게룡~!!



일본해는 언제부터 사용되었나요?

‘일본해’라는 명칭이 공식적으로 등장한 시기는 1919년 런던에서 개최된 제1차 국제수로기구(IHO) 회의였습니다. 당시 우리나라는 일본에 의해 지배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회의에 참석해 의사를 표시할 수 없었는데요. 따라서 1923년 일본은 동해 명칭을 일본해로 등록하였고, 이로 인해 국제적으로 동해를 ‘일본해(Sea of Japan)’로 표기하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해방 이후 우리나라가 IHO에 가입한 1957년 이후부터 일본해라는 명칭을 동해로 변경해줄 것을 줄기차게 요구해왔지만 관철되지 않았는데요. 하지만 1974년에 분쟁이 있는 해역의 명칭은 각 나라가 요구하는 이름을 병기할 것을 결의하면서부터 일본해를 고집하던 국제사회의 흐름은 조금씩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지난 2008년, 외교부가 75개국에서 발간된 353개 지도를 대상으로 ‘동해’ 표기 현황을 조사했다고 하는데요. 그 결과를 보면 ‘동해-일본해’ 병기한 지도는 전체의 23.8%, ‘일본해’ 단독 표기는 74.2%, 무표기는 2%로 파악되었고, ‘동해’ 단독 표기는 전무했다고 합니다.



왜 동해인가요?

동해가 세계 지도에 등장하기 시작한 시기는 16세기 초 서양인들이 동양을 탐험하고 지도를 제작하면서부터라고 합니다. 특히 16세기에서 19세기 초반까지 만들어진 서양지도에는 조선해, 한국해, 중국해, 일본해 등 다양한 명칭이 사용되어 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물론 이 시기에 가장 많이 사용된 명칭은 바로 ‘한국해(Sea of Korea)’라고 합니다. 물론 일본해라는 표기의 세계 지도도 1602년 ‘마테오리치’라는 사람에 의해 제작됐지만, 명칭의 위치가 일본 내해 쪽에 치우쳐 있어 동해 전체를 일본해로 지칭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한국해’보다 ‘동해’라는 이름을 더 많이 사용해왔습니다. ‘동해’라는 이름은 『삼국사기』<고구려 동명성왕편>에서 처음으로 등장하는데요. 이후에 세워진 ‘광개토대왕기념비’에서도 동해라는 명칭을 찾아볼 수 있으며, 1531년에 제작된 신증동국여지승람의 팔도청도에서도 동해라는 명칭이 표기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처럼 우리나라는 오랫동안 ‘동해’라는 명칭을 사용해왔음은 물론 우리 민족의 오랜 생활 터전으로 여겨왔으며, 심지어 동해에 사는 용왕이 우리나라를 지켜준다고 생각하기도 했다네요.



현재 대한민국은 ‘동해’ 명칭에 대해 한국인이 2000년 이상 사용해 온 명칭이고, 19세기까지 일본해와 더불어 한국해, 조선해, 동양해 등 다양한 명칭으로 사용되어 온 역사적인 사실을 고려할 때 고작 지난 100년의 역사를 근거로 ‘일본해’가 확립된 명칭으로 볼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오랜 시기동안 국제적으로 사용되어온 ‘한국해’라는 표현을 주장하지 않는 이유도 대한민국과 일본, 러시아 등 여러 나라가 인접한 바다이므로 국호를 따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입장입니다. 



지금까지 ‘동해’와 ‘일본해’ 표기에 대해 인천항만공사 해룡이와 함께 알아봤는데요. 최근 동해와 일본해를 병기하거나 동해를 단독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점점 늘고 있다고 합니다. 쉬운 일은 아니겠지만 ‘동해’를 표기하기 위해 노력하는 민간 또는 정부의 노고에 박수를 보내며 인천항만공사 해룡이는 이만 글을 줄이겠습니다. 다음 주에 만나룡~!!